반응형
오늘은 인터넷으로 (구)보건증, 건강진단결과서 발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직접 가까운 보건소에 찾아가 기본적인 검사를 통해 나의 위생상태를 확인 받는 일입니다. 식품 및 공중위생 관련 업종에서 일하시는 분들에게 필수로 건강상태를 증명하기 위한 확인증입니다.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.
대한민국 보건증(건강진단결과서) 안내
1. 보건증(건강진단결과서)란?
보건증은 식품 및 공중위생 관련 업종에서 근무하는 사람이 건강 상태를 증명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입니다. 정식 명칭은 **"건강진단결과서"**이며, 식품위생법 및 관련 법령에 따라 발급됩니다.
2. 보건증이 필요한 대상.
다음과 같은 업종에서 근무하는 사람은 반드시 보건증을 발급받아야 합니다.
- 일반 음식점, 휴게음식점, 제과점 등 식품을 다루는 업종
- 식품 제조·가공업, 유통업, 도·소매업 등
- 위생업종(이·미용업, 목욕탕, 숙박업 등)
- 학교, 병원, 유치원, 어린이집 등 단체 급식소 종사자
3. 검사항목.
보건증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지정된 보건소에서 다음과 같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.
- 장티푸스 검사
- 폐결핵 검사(흉부 X-ray 촬영)
- 전염성 피부질환 검사
(업종에 따라 검사항목이 추가될 수 있음)
4. 발급 절차.
- 방문 예약(선택 사항) : 가까운 보건소에 방문하여 검사가 가능한지 확인
- 검사 접수 : 신분증을 지참하여 보건소에 방문해 접수
- 검사 진행 : 기본적인 신체 검사 및 필요한 검사항목 수행
- 결과 확인 및 발급 : 보통 3~7일 이내에 결과가 나오며, 직접 수령하거나 온라인 출력 가능
5. 보건증 발급 비용.
- 보건소에서 발급받는 경우 약 3,000원~5,000원 정도의 검사 비용 발생
- 일부 민간 병원에서도 검사 가능하지만 비용이 더 비쌀 수 있음
6. 보건증 유효기간.
보건증은 일반적으로 1년간 유효합니다. 다만, 업종 및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갱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
7. 보건증 발급 기관.
- 보건소 : 가장 저렴하게 검사 및 발급 가능
- 일부 병원 및 건강검진 기관 : 비용이 더 들지만 신속하게 검사 가능
8. 온라인 발급 방법.
- E 보건소또는 보건증 발급 보건소 홈페이지 방문
- 로그인 후 "건강진단결과서(구 보건증)" 검색
- 본인 인증 후 발급 내역 확인 및 출력
건강진단결과서(구 보건증) 외에 다양한 증명서를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.
👉 참고사항:
- 보건증은 개인 신체검사이므로 대리 신청이 불가능합니다.
- 일부 업종에서는 보건증을 필수로 요구하므로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.
(구) 보건증 인터넷 발급 마무리.
보건증은 식품 및 공중위생 관련 업종에서 근무하는 사람은 필수로 제출해야 하는 서류의 하나로 시간이 안 맞아 업무시작 전에 제출이 되지 않는다면 검사 받았다는 확인증을 먼저 제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결과는 검사한 보건소에 직접 방문 또는 인터넷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. 유효기간은 1년이기 때문에 그 기간이 지나면 재 검사를 해야 한다는 점 참고해야 합니다.
*자녀 의료보험 번호 조회 확인 방법.*
*예방접종증명서 발급 방법, 신청방법.*
반응형
'알고 있으면 좋은 정보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본 벚꽃 유래와 일본 벚꽃 개화 시기에 대해 알아보자. (5) | 2025.02.19 |
---|---|
불면증의 원인과 증상, 불면증 도움이 되는 음식. (2) | 2025.02.12 |
문화상품권 구글플레이 기프트코드 / 로블록스 기프트카드 교환 방법. (5) | 2025.02.03 |
당진에 위치한 아미미술관. (5) | 2025.01.27 |
서울 마곡 가 볼 만한 곳 체험관, 장소 추천 (12) | 2025.01.27 |